부동산 거래에서 가장 골치 아픈 상황 중 하나는, 집을 팔고 난 뒤 뒤늦게 하자가 발견되어 매수인이 보수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다.
매도인은 "몰랐다", "당시에는 멀쩡했다"고 주장하지만, 민법상 하자담보책임은 매도인이 자동으로 지게 되어 있어, 법적으로는 방어가 쉽지 않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특약조항이다. 매도인은 계약서에 특약을 잘 작성함으로써, 법적 책임을 일부 또는 전부 면제받을 수 있다. 하지만 모든 특약이 통하는 건 아니다. 무조건 면책이 되는 게 아니라, ‘합법적인 조건과 방식’을 지켜야 효력이 인정된다.
이 글에서는 매도인이 하자나 기타 법적 분쟁으로부터 책임을 면제받기 위한 특약 조항의 작성 요령, 법적 요건, 실제 활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한다.

핵심 원칙부터 이해하자 – 하자담보책임 면책, 가능한가?
민법 제580조~582조는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을 규정하고 있지만,
→ 당사자 간의 ‘특약’으로 이 책임을 제한하거나 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만 책임 면제가 법적 효력을 가진다.
매도인이 책임 면제를 받기 위한 5가지 핵심 조건
① 특약의 존재 | 계약서에 ‘명시적’으로 책임 면제 조항이 있어야 함 |
② 하자의 구체적 명시 | 추상적 표현이 아닌 구체적 하자 또는 범위를 기재해야 함 |
③ 매수인의 인지 및 동의 | 매수인이 하자나 면제 사실을 알고 서명해야 함 |
④ 고의 또는 중대한 은폐가 없어야 함 | 매도인이 하자를 고의로 숨겼다면 특약도 무효 |
⑤ 형평성과 계약자유의 원칙 준수 | 법원은 ‘매수인 보호’ 원칙을 우선하기 때문에, 일방적인 특약은 인정 안 됨 |
실전 적용 전략 – 매도인이 반드시 해야 할 행동들
1. 하자 여부를 점검하고 미리 고지하라
- 매도인은 거래 전, 집에 존재할 수 있는 하자를 점검해야 한다.
- 예: 누수, 결로, 창틀 뒤틀림, 곰팡이, 방음 불량, 불법 증축 여부 등
- 숨기지 말고 솔직하게 고지하고, 그 내용을 계약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유: 고지된 하자는 특약으로 면책받기 쉬움. 하지만 고지하지 않으면 은폐로 간주돼 특약 무효 가능성↑
2. 특약 조항은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안 좋은 예시 (무효될 가능성 높음)
→ 추상적이고 불명확. 법원에서 무효 또는 일부 무효 판단 가능.
좋은 예시 (책임 면제 인정 가능)
3. 매수인의 ‘확인’ 및 ‘동의’ 서명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 특약은 일방적 선언이 아니라, 양측 동의에 의해 성립해야 한다.
- 계약서 안에 특약조항을 포함하고, 매수인의 서명을 별도로 받는 것이 좋다.
- 확인서 형태로 작성하여 첨부하면 법적 효력 강화됨.
4. 중개사의 설명은 구두가 아니라 서면으로 남기자
- 부동산 중개사가 매수인에게 하자 내용을 설명했다면, 해당 내용을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 또는 특약에 함께 기재해야 한다.
- 매수인에게 구두로 설명했더라도, 서명이나 기록이 없으면 인정받기 어려움.
5. 책임 기간을 한정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 예시: “본 계약 체결일로부터 1개월 이내 발생한 하자에 한해 매도인의 책임이 있다.”
→ 기본적으로 민법은 6개월 이내 책임을 인정하지만, 당사자 합의로 단축 가능함.
실무 예시 특약 조항 (복붙 가능 예문)
예시 1 – 일반 면책 조항
예시 2 – 특정 하자 면책 조항
예시 3 – 책임기간 한정 조항
매도인이 특약으로 책임을 면제해도 피할 수 없는 경우
- 하자를 고의로 은폐한 경우
→ 페인트로 균열 흔적을 덮거나, 하자 내용을 일부러 말하지 않은 경우 - 중대한 구조적 하자
→ 예: 기초 균열, 지반 침하, 건물 전도 위험 등은 공공안전 문제로 특약으로도 면책 불가 - 불법 건축물 미고지
→ 등기부에 기재되지 않은 불법 건축을 숨긴 경우도 특약 무효 가능
결론 – “특약”은 계약의 방패이자 칼이다
매도인이 선의로 집을 팔았더라도, 법적 책임은 서류로 남기지 않으면 인정되지 않는다.
특약은 계약의 방패 역할을 하지만, 추상적이거나 일방적인 특약은 오히려 무효 처리되어 불리한 증거가 될 수 있다.
반대로, 구체적이고 상대방 동의까지 포함된 특약은 매도인을 분쟁으로부터 지켜주는 강력한 법적 보호 장치가 된다.
집을 팔 때, 말보다 중요한 것은 계약서 문장이다.
'부동산 매매 허위고소 무혐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받은 실제 사례와 제출한 자료 100% 공개 (0) | 2025.07.11 |
---|---|
부동산 계약서에 꼭 넣어야 할 특약조항 TOP 10 (실전 예시 포함) (0) | 2025.07.11 |
하자담보책임 특약조항 작성 방법 (매도인·매수인 필수 체크사항) (0) | 2025.07.10 |
부동산 매매 시 하자담보책임, 어디까지 책임져야 하나? (사례 분석) (0) | 2025.07.10 |
선의로 집 팔았는데 법적 분쟁? 하자책임 관련 실제 사례 정리 (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