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고소 사건을 의뢰받은 변호사들은 단순히 "억울함"만 듣고 고소장을 작성하지 않습니다.
수사기관(경찰, 검찰)이 받아들일 수 있을만한 고소인지,
즉 "입증 가능한 범죄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철저하게 체크합니다.
다음은 형사 고소 사건을 수임받은 형사전문 변호사들이 실무적으로 가장 먼저 확인하고 체크하는 핵심 항목들입니다.

형사 고소 수임 시 변호사가 필수로 체크하는 10가지
고소 목적의 정당성 | 감정 보복성인지, 실제 형사처벌이 필요한 사안인지 |
범죄 성립 요건 충족 여부 | 고소하려는 혐의(사기, 무고, 명예훼손 등)가 법적으로 요건을 갖췄는지 |
입증 가능한 증거 유무 | 진술만 있는 게 아닌, 실제 문서·사진·녹취·진술서 등 객관 증거가 있는지 |
시간적 흐름의 정합성 | 사건의 발생, 증거 확보, 고소까지의 타임라인이 자연스러운지 |
고소인 진술의 일관성 | 조사 시 진술이 흔들릴만한 허점이 없는지 |
피고소인의 고의성 입증 가능 여부 | 실수인지, 악의적 허위 주장인지 ‘고의’를 입증할 수 있는 정황이 있는지 |
민사와 형사의 구분 문제 | 수사기관이 "민사로 풀 문제"라며 각하하지 않도록 사전에 구분 정리 |
반대방향 고소(역고소) 가능성 | 피고소인이 무고, 무혐의주장, 명예훼손 역고소를 할 수 있는 상황인지 사전 대비 |
고소인의 피해 실체 여부 | 수사기관에 어필할 수 있는 정신적·경제적 피해를 갖추었는지 (진단서 등) |
고소장 문장의 구성력 | 수사관이 이해하기 쉬운, 사실 중심 + 법리 구조로 작성된 고소장인지 여부 |
실제 변호사들은 이런 순서로 검토합니다
- 의뢰인 면담
→ 사실관계 청취, 감정선 파악 - 사건 발생 타임라인 정리
→ 날짜별 정리된 사건 흐름 확보 - 범죄 요건과 대조
→ 사기/공갈/무고/모욕 등 혐의의 법적 요건과 맞는지 분석 - 증거 목록화
→ 대화 내용, 문자, 녹취, 계약서, 사진, 진단서 등 분류 - 피고소인 고의성 여부 판단
→ 허위성 인식하고도 했는지 정황 수집 - 수사기관 관점에서 재구성
→ 조사관이 질문할 것 예상해, 허점 제거 - 고소장 작성 (법적 서술 + 사실 요약)
→ 한 문단에 하나의 주장 + 증거 연계 - 고소장 사전 법률 검토 (동료 변호사 간 검토)
→ 객관성 확보
무고죄 고소를 맡은 변호사가 체크하는 포인트
상대방이 고소한 내용은 거짓인가요? | “어떤 부분이 사실과 다른가요?” | 계약서에 특약이 있는데도 고의로 무시하고 고소했는가? |
상대방이 그 사실이 거짓임을 알고 있었나요? | “상대방이 이 내용을 알고 있었던 증거가 있나요?” | 문자, 카톡, 대화 녹취 등 |
실제로 수사를 받았나요? | “경찰/검찰 조사는 어느 정도 받았나요?” | 출석기록, 불송치 결정문 확보 |
고소로 인해 피해를 입었나요? | “이 고소로 인한 정신적/경제적 피해가 있었나요?” | 시간, 변호사비, 업무손실 등 정리 |
고소를 맡기면 변호사가 직접 해주는 일
고소장 초안 작성 및 수정
법적 요건 분석 후 “성립 가능성 보고서”
증거 취합 및 첨부 서류 정리
고소 접수 대리
경찰 조사 시 진술 방향 전략 수립
역고소/맞고소 방지 조언
사건 진행 중 수사기관과 커뮤니케이션
마무리 요약
법적 요건 충족 여부 |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 (입증 가능한가?) |
증거의 유무 | 진술이 아닌 문서, 영상, 녹취 등 객관적 자료 |
고소인 피해 입증 | 정신적, 경제적 피해가 수사기관을 설득할 수 있는 수준인지 |
고의성 여부 | 상대방이 ‘알고도’ 했는지 여부가 가장 핵심 |
'부동산 매매 허위고소 무혐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이나 검찰이 사건을 처리하는 방법 및 기준 (0) | 2025.07.06 |
---|---|
형사 고소사건을 위임받은 변호사가 사건 진행하는 행동순서 (0) | 2025.07.06 |
국가수사본부업무알림? (0) | 2025.07.06 |
무고 명예훼손 모욕 협박죄로 고소하기 (0) | 2025.07.05 |
매수자가 부동산매매 계약후 허위로 트집잡고 사기로 고소한다면? (0) | 2025.07.05 |